안녕하세요~ 컴퓨터가 동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핵심 부품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중앙처리장치
1-1. 중앙처리장치란?
1-2. 역할과 기능
2. 주기억장치(RAM)
2-1. 주기억장치란?
2-2. 역할과 기능
3. 보조기억장치
3-1. 보조기억장치란?
3-2. 역할과 기능
4. 입출력 장치
4-1. 입출력 장치란?
4-2. 역할과 기능
서론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여러 부품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동작합니다. 중앙처리장치(CPU)는 모든 연산과 제어를 담당하고,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며, 입출력 장치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컴퓨터의 핵심 부품들이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하며 어떻게 컴퓨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론
1.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라고 하면 말이 생소하게 느껴지시죠? 우리가 컴퓨터를 구매할때 보통 필요한 부품별로 구매를 하시면서 "CPU" 라는 부품을 구매하시게 되시는데 이때 CPU가 바로 중앙처리장치입니다. 컴퓨터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기도 하죠
1-1. 중앙처리장치란(CPU)?
컴퓨터 내에서 모든 연산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
컴퓨터 조립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번이라도 칩 모양의 부품을 보셨을겁니다. 저게 바로 "CPU" 입니다
1-2. 역할과 기능
중앙처리장치가 하는 역할과 기능은 무엇일까요?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전체를 제어하 필요한 계산을 처리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신체를 비유하자면 "뇌" 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능 소개
1. 연산 수행
중앙처리장치는 연산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면 (덧셈, 뺄셈 등등) 사칙연산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사칙연산을 처리하는 부품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ALU라는 연산처리장치가 CPU 내부에 들어있는 것이죠
2. 명령어 해석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한 줄씩 읽으면서 해석합니다. 어떤 작업을 해야할지 제어합니다. 이런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가 제어장치입니다(Control Unit)
3. 제어 신호 생성
컴퓨터에 다른 장치들에게 신호를 보냅니다.
예 : 데이터를 출력해줘, 저장해줘, 데이터를 불러와줘
4. 데이터 이동 및 저장
CPU 내부의 레지스터라는 공간에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2. 주기억장치(RAM)
주기억장치라고 하면 아직 감이 안오시지만 RAM이라고 하시면 감이 좀 잡힙실 수 도 있습니다. 게임을 설치하거나 컴퓨터를 구매하실때 RAM : 8GB 이렇게 적혀있으신걸 보셨을겁니다.
2-1. 주기억창치란?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2-2. 역할과 기능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CPU가 즉시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
기능 소개
1.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임시 저장
실행 중인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작업 중인 데이터를 보관
예 : 워드 문서를 작성할 때, 내용이 RAM에 올라와 있어야 CPU가 처리할 수 있음
2. CPU와 저장장치 간의 속도 완충
SSD나 HDD에서 직접 데이터를 처리하면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RAM이 빠른 중간 저장소 역할을 해 CPU가 지연 없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보조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라고 하면 뭔가 "보조" 본가 아닌 다른 주체가 저장해주는 장치라고 해석하시면 더 편하십니다. 그냥 단어만 들었을때는 짐작이 안가지만 생활에서 예시를 두자면 USB 메모리, 외장하드, CD/DVD, SD 카드 등등이 보조기억장치에 포함되겠습니다.
3-1. 보조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는 컴퓨터가장기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 비휘발성 메모리
3-2. 역할과 기능
컴퓨터에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능 소개
1. 데이터의 영구 보관
문서, 사진, 프로그램 등을 전원이 꺼져도 계속 보존합니다.
예) 파일을 저장하면 보조기억장치에 기록됨.
2. 대용량 저장 공간 제공
RAM보다 훨씬 큰 저장 공간을 제공
HDD나 SSD는 GB ~ TB까지 용량이 커서 방대한 데이터를 담을 수 있습니다.
3. 프로그램과 운영체제 저장
컴퓨터가 부팅할 때 운영체제를 보조기억장치에서 읽어와 RAM에 올립니다.
프로그램도 실행 시 이곳에서 불러옵니다.
4. 데이터 백업과 이동
중요한 데이터를 보존하거나 다른 기기로 옮길 때 사용합니다.
USB, 외장하드, SD 카드가 대표적인 예
4. 입출력장치
"입출력장치" 뭔가 입력, 출력에 대한 장치라는게 느껴지시나요? 맞습니다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장치를 말합니다.
4-1. 입출력장치란?
컴퓨터와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장치
4-2. 역할과 기능
컴퓨터와 사람 또는 다른 장치 사이에 정보를 주고받게 해주는 역할
입출력장치 예 :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 모니터, 프린터 등등
입력장치 : 마우스
출력장치 : 프린터
기능소개
데이터 입력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 키보드로 글자를 입력, 마우스로 클릭
데이터 출력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예) 모니터에 화면 표시, 프린터로 출력
데이터 교환
다른 기기나 저장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예) USB 저장장치 연결
이상으로 컴퓨터의 핵심 부품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결론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동작합니다. 각 부품마다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 교환하며 컴퓨터의 핵심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러한 부품이 함께 어우러져 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컴퓨터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컴퓨터 공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데이터와 명령어) (0) | 2025.06.21 |
---|---|
CSR(Cilent Side Rendering) & SSR(Sever Side Rendering) 완벽 정리 (0) | 2025.02.27 |
[네트워크 이론] OSI 7계층, TCP/IP 와 , TCP/IP 4계층 정리 (0) | 2025.02.19 |
보일러 플레이트, index 파일의 사전적 의미 (0) | 2025.01.06 |
[웹 개발 트렌드] 12가지 정보 (0)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