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 관리를 하다 보면, 서버와의 비동기 통신이 필요한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redux-thunk를 사용하면 Redux 안에서 비동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redux-thun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목차1. redux-thunk1-1. redux-thunk란?1-2. redux-thunk의 등장1-3. redux-thunk의 동작1-4. redux-thunk 문법1-5. redux-thunk의 목적1-6. Todo-List 실습 서론Redux를 사용하다 보면 "비동기 로직은 어디에 작성해야할까"라는 고민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PI 요청을 보내고 그 결과를 상태에 반영하려고 할 때, Redux의 기본 구조만으로는 이를 처리..